분류 전체보기(39)
-
JS 기술면접 스터디 1주차: 이벤트 위임부터 코드구성까지
개발 프로젝트 동아리 활동 중 JS기술 면접을 대비하고 싶은 사람들과 함께 지난 7주간 모여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질문 리스트는 front-end-interview-handbook에서 가져왔으며 매주 모여 일정 분량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고 서로 돌아가며 말하고 이를 서로 보완하고 지적하는 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이 스터디를 하면서 JavaScript에 대해 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내용을 문장으로 정리할 수 있었고 그러면서 동시에 모르는 내용이나 안다고 생각했던 내용에 대해서도 개념을 확실히 잡을 수 있었습니다. 이 글은 스터디 내용을 복기하고 정리하는 글로 아주 상세한 기술내용은 담고 있지 않습니다. 관련해서는 이후에 따로 정리할 계획입니다. 첫주차 질문은 이벤트 위임, this, 프로토타입 상속..
2019.07.14 -
개발 블로그 만들기: (1) Tistory(티스토리)를 선택한 이유
개발 블로그를 만들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개발 뿐 아니라 취업, 기획, IT 등의 여러 정보를 기록하고 생각을 정리하는 블로그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예전에 Github과 Hexo를 통해 정적 블로그를 운영한 적이 있지만 테마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마크다운이 번거로웠습니다. 테마도 별로 마음에 드는 것이 없어 테마 분석과 커스텀에만도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서 방치해두었습니다. 결정적으로 게시글을 올리고 수정하는 일이 너무 번거로웠습니다. hexo clean - hexo generate - hexo deploy의 반복... 그래서 그냥 블로그 서비스를 이용해야겠다고 생각했고 서비스들을 쭉 찾아봤습니다. 제가 어떤 선택지들을 고려했고 왜 티스토리를 선택하게 되었는지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1. Naver ..
2019.07.13 -
[알고리즘] Hash - 완주하지 못한 선수
JavaScript 스터디를 하면서 자바스크립트 면접 질문을 준비하던 것이 끝나서 이젠 알고리즘을 하루에 한 문제씩 풀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연습(https://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문제를 풀기로 했습니다. 그 중 Hash를 우선적으로 풀고 첫 문제인 '완주하지 못한 선수'(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76)를 풀었습니다. 그런데 기묘한 일을 하나 겪은게 있었는데, 정합성 테스트에서 소요 시간이 줄었는데 오히려 효율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것입니다. 우선 문제는 이렇습니다. 문제 설명 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
2019.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