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동기(2)
-
Promise 정리: async/await 사용법 & then과의 차이
서비스 개발을 하다보면 비동기적으로 개발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JavaScript에서는 과거 callback 함수를 통해 비동기를 구현하곤 했으나 요즘에는 Promise 객체를 반환하게 하여 async와 await로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 로직이 진행되게끔 지연시키는 방식을 통해 비동기를 구현하곤 합니다. 최근 회사에서 앱을 개발하면서 한번 사용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Promise 객체 자체에 대해서는 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Guide/Using_promises 이 링크를 참고하세요.) Promise 객체를 반환하게끔 작성한 함수를 호출할 땐 함수명 앞에 await 키워드를 붙이고 호출하면 해당 작업이 완료되고 나서야 이후 코드가 ..
2021.04.11 -
JS 기술면접 스터디 6주차: immutable 객체부터 이벤트 루프까지
기술면접 스터디 5주차에 이어 6주차를 진행하고 관련 내용을 정리합니다. 이전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다음을 클릭해주세요. 1주차: 이벤트 위임부터 코드구성까지 2주차: 호스트 객체부터 Ajax까지 3주차: 호이스팅부터 이벤트 버블링까지 4주차: 전역스코프부터 Promise까지 5주차: Math.max()부터 프로토타입 기반 상속까지 이번 글은 지난 1~4주차 글들처럼 다르게는 front-end-interview-handbook의 질문을 다루며, 이 글은 스터디 내용을 복기하고 정리하는 글로 아주 상세한 기술내용을 담고 있진 않습니다. 관련해서는 이후에 따로 정리할 계획입니다. 6주차 질문은 Math.max()와 Math.min(), 컴퓨터가 다루는 소수, 지멋대로의 진법 변화, 함수 표현식과 선언식의 차..
2019.12.30